생활정보 / / 2022. 10. 30. 15:29

24절기란 무엇일까? 24절기의 종류

24절기의 설명

절기란 계절적 구분을 하기 위해 태양의 황도상 위치에 따라 중국에서 처음 만든 것이다.
황도에서 춘분점을 기점으로하여 약 15° 간격을 점으로 찍어 총 24개의 절기로 만들었다.

그리하여 중국을 비롯한,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태양년을 태양의 황경에 따라
24번으로 나눠 계절을 나누게 되었다. 이것을 다른 말로 절후(節候)·시령(時令)이라고도 한다.

황경이란 태양이 움직인 각도로 춘분점을 기점으로 한다. 
황경이 0°일 때를 춘분으로 하여 약 15°간격으로 점을 찍어 24절기를 구분한다.

첫번째 절기와 두 번째 절기 사이의 간격은 총 15일이며, 양력 날짜는 같지만 음력은 조금씩 변화된다.
그래서 윤달을 음력 날짜에 넣어 계절을 맞춘다. 

 

절기의 절(節)과 중(中)

24절기는 총 2가지로 불린다. 하나는 절(節)이고, 다른 하나는 중(中)으로 분류되어 
첫 번째, 세 번째 절기인 홀수의 절기 (입춘, 경칩, 청명, 입하, 망종, 소서, 입추, 백로, 한로, 입동, 대설, 소한 등)가 절이며
두 번째, 네번째 절기인 짝수의 절기 (우수, 춘분, 곡우, 소만, 하지, 대서, 처서, 추분, 상강, 소설, 동지, 대한 등)가 중이다.
우리나라는 뚜렷한 4계절을 보이는데 여기서 4계절은 입춘, 입하, 입추, 입동의 절기에서 시작된다.

 

 

지금의 절기

과거에는 날씨과 계절에 따라 그에 걸맞은 절기가 맞았다. 
시간이 많이 흘러 지금은 지구 온난화로 인해 평균 기온이 상승했다. 
그렇기 때문에 과거와 달리 절기에 때맞춰 날씨와 계절이 변하지 않는다.  
과학이 발달하고 날씨와 계절을 가늠할 수 있도록 기온 및 강수량의 변화 등을 측정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여러가지 환경에 따라 날씨와 계절을 정의하게 되었다.
그래서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의 절기는 날씨와 계절(봄, 여름, 가을, 겨울 등)을 
구분하는 절대적 기준이 아니라는 것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절기가 처음 생긴건 중국 주나라 때 화북 지방의 날씨에 맞춰 절기를 정했기 때문에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의 날씨와는 맞지 않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각 절기의 날씨에 대한 설명을 참고하되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옳지 않다. 
결국, 절기는 계절 변화에 대한 시기를 참고할 수 있는 지표일 뿐 이것을 날씨나 계절 변화의

절대적인 기준으로 삼기에는 무리가 있다.

 

절기가 만들어진 역사

옛날 중국에서는 달력을 만들기 위해 달의 위상 변화를 기준으로 하여 역일을 정했고 
태양의 위치에 따라서 계절의 변화를 고려하여 만들것이 윤달을 둔 태음 태양력이었다. 
그러나 이 달력으로는 계절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았고 특별히 약속하에 입춘·우수·경칩·춘분 등 
24절기의 시작일을 정하였다.

정하는 방법에 두 가지가 있었는데 하나는 평기법(平氣法)이고, 다른 하나는 정기법(定氣法)이다. 
두 가지 방법 중 평기법은 오랜 세월을 걸쳐 사용해왔다. 
평기법은 1년의 시간적 길이를 24개로 나눠서 황도상의 해당점에 각 절기를 매기는 방법이었다. 
이때 동지(冬至)를 기점으로 하여 순차적으로 짝수는 중, 홀수는 절 등으로 매겨나가는 방법이었다.
따라서 동지의 시각을 알면 그 뒤 다음 절기까지 15일씩 더해가면 24번의 절기와 입기 시각이 구해졌다. 

두 가지 방법 중 정기법은 훨씬 뒤늦게 실시되었다. 
정기법은 황도상에서 동지를 기준으로 동쪽으로 약 15° 간격으로 점을 매기고 
태양이 이 점을 순차로 한 점씩 지남에 따라서 첫 번째 절, 두 번째 중 등으로 매겨나갔다. 
그리고 각 24개의 절기에 어울리는 이름을 붙여 그것을 달력에 표시하였다. 
사실 중국은 24절기 시각을 구하는 것이 달력을 만드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었다.
우리나라도 과거 중국의 역법을 그대로 도입하였기 때문에 현재까지 24절기가 달력에 표시되어 있다.
달력에 표시된 24절기는 계절을 나타내고 참고할 수 있는 좋은 표시가 되어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고 있다.
24절기는 2016년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어있다.

 

24절기의 종류

24절기 의미 시작날짜
입춘 봄의 시작 2월4일
우수 봄비가 내리고 싹이 트는 시기 2월18일 or 19일
경칩 개구리 겨울잠에서 깨어남 3월5일 or 6일 
춘분 낮이 길어지기 시작 3월20일  or 21일
청명 농사준비 4월5일  or 6일
곡우 농사를 시작할 수 있는 비가 오기 시작 4월20일  or 21일
입하 여름의 시작 5월5일  or 5월6일
소만 본격적인 농사 시작 5월21일  or  22일
망종 씨 뿌리기 시작 6월5일  or 6일
하지 낮이 가장 긴 시기 6월21일  or 22일
소서 더위의 시작 7월7일  or 8일
대서 더위가 가장 심함 7월22일  or  23일
입추 가을의 시작 8월7일  or 8일
처서 더위가 식고 일교차가 큼 8월23일  or 24일
백로 이슬이 내리기 시작 9월7일  or 8일
추분 밤이 길어지는 시기 9월23일 or 24일
한로 찬 이슬이 내리기 시작 10월8일 or 9일
상강 서리가 내리기 시작 10월23일  or 24일
입동 겨울이 시작 11월7일  or 8일
소설 얼음이 얼기 시작 11월22일  or 23일
대설 겨울 큰 눈이 옴 12월7일  or 8일
동지 밤이 연중 가장 긴 시기 12월21일  or 22일
소한 겨울 중 가장 추운 때 1월 5일 or 6일
대한 겨울 큰 추위 1월20일 or 21일

 

천문학적으로 보았을 때 절기

사실 천문학적으로 24절기는 춘분, 하지, 추분, 동지 등 4개의 절기만 큰 의미가 있다. 
아쉽게도 나머지 20개는 천문학적으로 특별한 명칭과 의미가 없다.
지구에서 봤을 때 태양의 궤적은 북회귀선과 남회귀선 사이를 반복하여 왔다 갔다 한다. 
천문학 적으로 태양이 적도(0°)에 있을때는 춘분점이나 추분점에 있을 때이다.
그리고 북회귀선(북위 23.5°) 에 도달하면 하지점에 있을 때이고 
남회귀선(남위 23.5°)에 도달하면 그때는 동지점에 있을 때이다.
또한 적도와 북회귀선의 한가운데에 있을 때 즉 태양이 (북위 11.75°) 있을 때는 입하가 아니라 곡우의 절기이다. 


반응형
  • 네이버 블로그 공유
  • 네이버 밴드 공유
  • 페이스북 공유
  • 카카오스토리 공유